개발/github

git stash

pizzaYami 2023. 4. 15.

 

코드를 몰래 보관하는 비밀공간

 

git stash란

 

git stash 가 뭐냐면 코드를 잠시 다른곳에 보관해 놓는 방법이다.

여기서 stash는 "숨기는 장소"라는 뜻이다.

 

코드를 짜다가 개같이 멸망한 코드가 있다고 치자.

이 코드를 주석처리를 하고 싶지만 commit을 할 때 더럽히기 싫다면 stash를 사용하면된다.

 

 

git stash에 저장하기

 

파일을 하나 만들어서 commit을 해보자.

aaaaaaaaaaaa

 

그리고 밑에 bbbbbbbbb 코드를 짜놨다고 치자.

근데 밑에 코드가 맘에 안 들어 잠시 다른곳에 보관하고 싶으면 git stash 명령어를 쓰면된다.

aaaaaaaaaa
bbbbbbbbbb

 

git stash

이렇게 명령어를 입력하면 aaaaaa 만 남는다.

 

git stash save "이 코드에 대한 메모"

이렇게 명령어를 입력하면 aaaaaa와 메모가 남는다.

 

 

git stash list

git stash는 여러 번 할 수 있으며

git stash list로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

메모도 남겨났다면 메모가 같이 뜬다.

 

git stash 불러내기

 

git stash pop

보관했던 코드를 다시 불러오려면  이렇게 명령어를 입력하면된다.

근데 stashf를 가져올때는 가장 최근에 들어온 것부터 먼저 나간다.

현재 코드와 겹치는 부분이 있으면 당연히 conflict 나니깐 그때 해결하면 된다.

 

stash 관련 여러 명령어들

 

 

git stash drop 삭제할id
git stash clear

위에건 특정 stash 삭제,

밑에건 모든 stash 삭제하는 명령어입니다.

 

git stash -p

전체 말고 일부 코드만 git stash 하고싶다면 쓴다.

그럼 파일을 훑어주면서 stash 할 지 의견을 물어보는데 y/n 으로 잘 대답하면 된다.

 

주석처리하면 되잖아??

코드를 주석처리하는거랑 용도가 비슷하긴한데
commit할 떄 주석은 반영이 됨으로 깔끔하게 하고싶을때 사용한다.
브랜치에다가하면 되잖아??
들킴ㅎㅎ

 

 

레퍼런스(사실 거의 다 가져옴 ㅎㅎ) 

애플코딩

'개발 > github'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깃헙 프로필 꾸미기  (1) 2023.12.28
git 커밋컨벤션 설정법  (0) 2023.08.16
github 사용법  (0) 2023.04.13
branch와 merge  (1) 2023.04.13
git 하는법  (0) 2023.04.13

댓글